복잡하기만한 금융상품 용어도 복잡하고 내용도 참 복잡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세금이라는 피해갈 수 없는 지출을 막기 위해서도 금융 지식을 하나하나 쌓아가야 하겠죠? 오늘은 ISA와 IRP의 비교 분석을 통해 어떤 장’단점이 있는 지 알려드리겠습니다.
IRP와 ISA
IRP와 ISA의 장’단점
투자 방향
IRP와 ISA
- IRP
- ISA
IRP는 개인형 퇴직연금의 약자 입니다. 근로자, 자영업자 , 공무원, 주부 등 노후 대비를 위한 퇴직금 수령에 목적이 있습니다. 또 납입한도는 연 1,800만원 이며 이 중 세액공제는 700만원 까지 가능 합니다.
과세방식은 연금 수령 시 분리과세(3.3 ~ 5.5%)를 합니다. 중도인출은 불가능하며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이 가능하니 투자 전 목돈이 묶이는 단점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투자 가능 상품으로는 예금, 채권, 펀드, ETF 등이 있습니다.
ISA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지칭 합니다. 대한민국 국민 만19세 이상이라면 누구가 가입이 가능 합니다.
다양한 금융상품을 절세 받으면 목돈을 불려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연 2,000만원 까지 적립이 가능하며 최대 1억원 까지 적립이 가능합니다.
이자’배당 등 비과세 한도 까지(200만원) 절세 혜택이 있습니다. 3년 이상 유지해야하는 단점이 있고 추가 연장이 가능 합니다.
IRP와 ISA의 장’단점
- IRP
- ISA
IRP의 장점은 세액공제를 통한 절세효과 입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노후자금 마련에 목적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중도 인출이 불가능하고 55세 이전에 해지할 경우 불이익이 있습니다. 그동안 받은 혜택을 토해내야 합니다.
ISA는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로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인기가 많은 배당주와 같이 이자와 배당속에 대해 절세가 가능 합니다.
3년이라는 짧고도 긴 시간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처음 ISA에 적립을 하신다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투자 방향
- 단기’중기 투자
- 장기&노후 대비
두 가지 모두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개인에 맞는 투자 선택이 필요 합니다.
단기 또는 중기투자를 선호한다면 ISA를 선택하고 장기 또는 노후에 필요한 목돈 마련을 위해서는 IRP를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물론 ISA를 우선 투자하고 만기 이후 IRP로 이관해 지속적인 투자와 노후자금 마련을 목표로 하는 것도 방법 입니다.
개인에 성향에 따라 투자 선호도도 다르기 때문에 어떤게 좋다 나쁘다를 구분하는 건 의미 없습니다. 어떤 투자가 됐건 장기간 목표하는 수익을 이룰 수 있도록 모두 함께하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